
미국 루이지애나 주정부가 인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건의 여파가 자신들의 주에서 추진 중인 현대차그룹 제철소 건립에는 전혀 파급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는 17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에서 "현대차 제철소 건립 사업에서 변화된 부분은 전혀 없으며 당초 계획대로 추진된다"고 명확히 했다.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LG 공동 배터리 제조시설 건설현장에서 한국인 300여명 등 총 475명이 이민당국에 의해 연행된 사건을 언급하면서 "이 프로젝트에서는 위법한 고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단언했다.
수잔 부르주아 루이지애나 경제개발부 장관 역시 "한국 기술자들이 제철소 건설현장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확인했지만 "현대가 루이지애나에 공약한 1300개 고용창출에는 어떤 변동도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부르주아 장관은 조지아 사건 발생 직후 현대제철 임원진과 긴급 협의를 진행했으며, 루이지애나 시설에서는 출입국 관련 문제가 없음을 상호 재점검했다고 설명했다.
루이지애나 당국의 이러한 적극적 해명은 조지아 사건으로 촉발된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 위축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동시에 지역 선거민들을 겨냥해 불법체류자 채용 금지와 미국인 고용 의무 이행이라는 원칙을 재확인하는 정치적 메시지도 담겨있다는 분석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24일 정의선 회장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참석한 행사에서 루이지애나에 연간 270만톤 생산능력의 친환경 제철시설을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에는 58억달러(약 8조원)가 투입되며, 저탄소 자동차용 강재에 특화된 시설로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와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에서 필요한 철강 원자재를 공급하게 된다.
마이클 스튜어트 현대차 북미법인 대변인은 "기존에 공표한 계획에 수정사항은 없으며, 미국 시장에 대한 장기적 투자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 트립 톨리슨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구금 후 귀국한 한국인 기술자들의 재입국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들의 복귀가 매우 중요하다"며 "장비 설치와 배터리 기술 이전을 담당할 수 있는 유일한 인력"이라고 강조했다.
미 의회조사국(CRS)은 최근 발간한 한미관계 분석보고서에서 이번 구금 사태가 양국 관계에 우려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RS는 "미국의 출입국 정책이 해외투자 유치와 제조업 일자리 확대라는 목표와 상충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