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조정한 것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 만의 인하이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금리 조정이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최근 경제활동 성장세가 완화됐고 고용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실업률이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용 부문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조치를 "위험 관리 차원의 인하"라고 규정했다. 그는 "노동시장을 더 이상 매우 견고하다고 말할 수 없다"며 "노동 공급과 수요가 모두 둔화되는 이례적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0.5%포인트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전혀 없었다"며 '빅컷' 압박을 일축하기도 했다.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 중간값은 3.6%로 설정됐다. 이는 6월 전망치 3.9%보다 낮아진 것으로, 10월과 12월 남은 회의에서 각각 0.25%포인트씩 추가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날 투표에서는 12명의 위원 중 11명이 0.25%포인트 인하에 찬성했다. 유일한 반대자는 전날 취임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이사로, 그는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했다. 마이런은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인물로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직도 겸하고 있어 연준 독립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연준 위원들 간 견해 차이도 뚜렷했다. 19명 위원 중 9명은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를, 7명은 한 차례 인하를 전망했다. 한 위원은 올해 총 1.25%포인트 추가 인하를 주장해 마이런 이사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외신들은 보도했다.
연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에서 1.6%로 상향 조정했으나, 실업률(4.5%)과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상승률(3.1%) 전망은 유지했다. 내년에는 1회 인하만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한국(2.50%)과 미국 간 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축소됐다. 뉴욕 증시는 혼조 반응을 보였는데, 다우지수는 0.57% 상승했지만 S&P500과 나스닥지수는 각각 0.1%, 0.33% 하락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