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촉발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에서 발생한 방사능 오염 정화작업 중 회수된 대량의 토양 중 일부가 도쿄 중심부에 위치한 정부청사 화단으로 운반됐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14일 도쿄 중앙 관청가인 가스미가세키 일대 환경성과 경제산업성, 부흥청 청사의 화단에 총 45세제곱미터 분량의 오염 정화토양을 매설하고 압축하는 공사가 실시됐다. 특히 경제산업성 청사 주차장 앞 화단에서는 지하 55센티미터 깊이까지 해당 토양을 매립한 뒤, 확산 방지를 위해 상부에 일반 토양을 20센티미터 두께로 덮는 작업이 진행됐다.
이번 사례는 지난 7월 도쿄 지요다구 나가타초 총리 관저 정원에 이어 후쿠시마현 경계를 벗어난 지역에서 오염토 재활용이 이뤄진 두 번째 케이스다. 일본 당국은 국민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오염토 재이용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자, 모범 사례를 먼저 조성해 국민적 동의를 얻어내려는 전략으로 총리 관저부터 시작해 각 정부기관으로 해당 토양을 순차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오염 정화토양은 원전 참사 이후 인근 주거지역과 경작지 등에서 방사능 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하며 채취한 흙으로, 관련 법령에 따라 2045년 3월까지 후쿠시마현 외부 지역에서 최종 폐기처리해야 한다. 방사성 세슘 농도가 킬로그램당 8천 베크렐 미만인 경우 재사용이 허용되며, 이번에 사용된 토양의 세슘 농도는 킬로그램당 약 4천 베크렐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그간 방사능 농도가 기준치 이하인 토양을 수도권을 포함한 후쿠시마현 외부 지역의 공공시설 건설 등에 활용하는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해왔으나,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대부분 중단된 상태다. 현재 후쿠시마현 내 임시 보관시설에 저장된 오염토의 총량은 약 1천410만 세제곱미터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