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수익률이 우수한 반도체 및 의약품 분야에 자동차 품목 관세인 25%를 넘어서는 세율을 책정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국빈방문 출국에 앞서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동차 관세 인하에 따른 미국 제조업체들의 우려에 대해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았다"며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에 적용되는 자동차 세율이 기존 25%에서 15%로 조정된 것과 관련해 미국 자동차 산업계가 제기하는 불만에 대응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국가들은 오랜 기간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으나 현재는 15%를 지불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추가적인 부담이 가능하다"면서 "반도체와 의약품 분야는 수익률이 자동차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더 많은 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품목에 대해 최대 100%의 높은 세율을 검토한다고 언급했으며, 의약품 분야에는 150%에서 250%까지의 관세율 적용 방안을 거론한 바 있다.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정책 성과를 강조하며 "유럽연합이 세금으로 9천500억 달러를, 일본이 6천500억 달러를 납부하고 있다"면서 "내 취임 이전까지는 이들로부터 아무런 수입을 얻지 못했던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연방대법원에서 진행될 관세 관련 법적 분쟁에 대해서는 "법무 전문가들 모두 우리 측 승리를 예상하고 있다"면서 보수 우위의 대법원에 대한 신뢰감을 표명했다. 현재 대법원은 9명 중 6명이 보수 성향 대법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3명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임명된 인물들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소송에서 승리할 경우 미국은 전 세계 어떤 국가보다 풍요로워질 것이며, 이를 통해 국민들의 채무 해결을 지원할 수 있다"면서 "우리 국민은 물론 타국까지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소유의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틱톡 문제와 관련해서는 "중국 측과의 협상이 타결됐으며, 금요일(19일) 시진핑 주석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세부사항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틱톡의 미국 내 운영권 매수에 관심을 보이는 "상당 규모의 기업들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틱톡은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는 이유로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이버 공격에 악용될 위험성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 미 의회는 틱톡이 미국 기업으로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차단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트럼프 행정부는 해당 법률의 시행을 연기하는 동시에 틱톡의 주요 지분을 미국 기업이 인수하는 방향으로 중국과 협의를 진행해 왔으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된 미중 고위급 통상협의에서 기본적인 합의점을 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