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의회가 17일 김태헌 강원개발공사 신임 사장 후보자를 대상으로 인사청문회를 실시하며 집중적인 자질 검증에 나섰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춘천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건설을 둘러싼 도-춘천시 간 갈등 해소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됐다.
지광천 도의원은 춘천시가 2030년 42만 인구 목표를 설정하면서도 도청 이전에는 반대하는 모순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명동·요선동 상권 침체는 이미 진행된 현상으로 도청 이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김용복 도의원은 춘천시가 지속적으로 협의를 거부할 경우 도청 이전 부지를 다른 시군으로 변경하는 방안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하 도의원은 춘천시가 원도심 공동화 우려와 재정 조달 불안정성을 근거로 사업계획서를 반려했지만, 강개공은 이미 도시재생 참여 의지를 표명하고 재정계획을 보완하고 있다며 지자체의 발목잡기를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의 전문성과 경영능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박윤미 도의원은 32년간 공무원으로 재직하고 강개공 경력은 1년에 불과한 후보자가 대규모 개발사업과 재정 위험관리 등 복잡한 경영 이슈를 해결할 역량이 있는지 의문을 표했다. 조성운 도의원은 공무원 조직의 느슨한 의사결정 구조를 탈피하고 보다 진취적이고 신속한 사업 추진을 주문했다.
이무철 도의원이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입주 예정 공공기관 현황을 질의하자, 김 후보자는 일부 기관에서 입주 의사를 밝혔고 입주를 확정한 기관도 있다고 답변했다. 이영욱 도의원은 공사의 지역인재 채용 비율 확대를, 김기철 도의원은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자구책 마련을 과제로 제시했다.
김 후보자는 강개공 본부장으로 고은리 사업을 총괄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춘천시와의 협력을 통해 기반시설 구축과 원도심 활성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2026년까지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개선해 도민이 신뢰하는 공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박윤미 도의원은 김 후보자가 갈등 해결 방안에 대한 질의에 협의체 구성이라는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다며, 지역 핵심 현안에 무성의하게 대응하는 후보자에게 지방공기업 경영을 맡기는 것이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인사청문특별위원회는 18일 오전 김 후보자의 적격 여부를 담은 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고은리 행정복합타운은 99만8천㎡ 부지에 9천30억원을 투입해 2027년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