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대통령실 핵심 인사들이 14일 오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비공개 만찬 회의를 개최한다고 여권 소식통들이 밝혔다. 이번 모임에는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과 우상호 정무수석, 김민석 국무총리, 그리고 정청래 민주당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동석할 예정이다.
이날 회합은 표면적으로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가짜정보근절법 등 이달 말 국회 본회의 통과를 목표로 하는 주요 법안들의 세부사항을 협의하기 위해 김 총리가 주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최근 3대 특검법 여야 협상 과정에서 표출된 민주당 지도부 내 균열을 치유하고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가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 10일 김 원내대표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특검 수사기간 추가 연장 불가 및 인력 확충 최소화 조건으로 3대 특검법 수정에 동의했으나, 당내 강성 지지층과 강경파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이 과정에서 정 대표가 공개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천명하며 재협상을 지시하자 14시간 만에 여야 합의가 무산됐다.
김 원내대표는 합의 이전 당 지도부와 충분한 소통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정 대표의 공개 사과를 요구했고, 이로 인해 민주당 최고 지도부 간 공개적인 충돌이 벌어졌다. 정 대표는 지난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는 생사고락을 함께한 전우이자 동지"라며 화해의 메시지를 전했고, 김 원내대표도 13일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 내란 종료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고 화답했다.
여권 관계자는 "특검법 이슈로 인해 여당 지도부에 발생한 균열을 신속히 해결하고 힘을 합쳐 정부 국정과제를 지원하자는 각오를 새롭게 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구체적인 안건을 설정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단합을 강화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일부에서는 단순히 특검법 처리 문제를 넘어 최근 검찰개혁 등 일련의 개혁 작업 과정에서 드러난 당정 간 온도차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7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검찰개혁 후속조치를 논의하던 중 정 대표와 우 수석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정부 측 인사는 "정권 출범 초기 잡음이 장기화되면 핵심적인 개혁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점에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며 "특히 여권 내부 '투톱' 대립의 경우 더 이상 악화되어서는 안 되는 만큼 전환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