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방안 발표 후에도 오름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특히 마포·성동·광진구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폭이 2주째 확대되면서 시장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18일 공개한 9월 3주차(15일 기준) 주간 부동산 가격 동향에 의하면, 서울 지역 공동주택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12% 상승하며 직전 주(0.09%)보다 오름폭이 더 벌어졌다. 이는 지난달 둘째 주 이후 5주 만에 상승률이 0.10%를 넘어서며 33주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성동구가 0.41%로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냈다. 성수동과 금고동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은 전주(0.27%)보다 0.14%포인트나 더 올라 4주 연속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마포구 역시 0.28% 상승해 전주(0.17%)보다 0.11%포인트 확대되었으며, 성산동과 공덕동 주요 단지가 오름세를 견인했다. 광진구는 자양동과 구의동 학군 지역 위주로 0.25% 올랐다.
실제 거래 사례를 보면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 113㎡가 26억5천만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최고가를 갱신했고,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84㎡는 25억3천만원에 거래되어 약 2억원 가까이 뛰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강남권에서는 엇갈린 움직임을 보였다. 서초구(0.17%)와 송파구(0.19%)는 상승폭을 키웠지만, 강남구(0.12%)와 용산구(0.12%)는 전주보다 오름폭이 줄어들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에 대한 우려가 이들 지역으로의 매수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정부가 9.7 대책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규제 확대 이전에 선제적으로 매입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수도권 전체로는 0.04% 상승하며 전주(0.03%)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으며, 성남 분당구가 0.34%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인천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전국 기준으로는 0.02% 상승해 2주 연속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1% 하락했으나 전주(-0.02%) 대비 하락폭은 축소됐다.
전세시장에서는 서울이 0.07% 오르며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송파구(0.21%)가 가락동과 방이동을 중심으로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냈고, 강동구(0.16%), 성동구(0.1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투기 수요 통제를 위한 추가 대책"을 언급한 가운데, 한강벨트 지역의 급등세가 지속될 경우 새로운 규제 조치가 등장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