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으로 글로벌 4대 제조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동시에, 에너지 구조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고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결정된 총 123개 국정과제 중 산업부 담당 7개 분야에 역량을 결집한다고 밝혔다. 핵심 전략은 첨단 산업 육성과 제조업 혁신, 에너지 대전환 등 3대 축으로 구성됐다.
AI 공장과 휴머노이드 로봇 등 스마트 제조 기술 도입을 통해 2030년 산업 분야 AI 활용도를 70%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바이오 파운드리와 의료기기 기술 발전으로 바이오 헬스 분야 수출 실적을 35% 이상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무인항공기와 도심 항공 모빌리티 분야 핵심 부품의 국내 생산 비율을 70%로 높이는 한편,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로 방위산업 강국으로의 도약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탄소 저감, 친환경 수소, 폐배터리 재활용 등 기후 기술 분야를 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 분야에서는 2030년 수출액 17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자동차는 세계 생산량 5위권 진입, 이차전지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25% 확보를 추진한다. 반도체는 AI 칩과 초고속 메모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자동차는 친환경차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자율주행 기술 등 미래차 분야에 투자를 늘린다.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은 수소 활용 제철 기술과 고부가가치 특수 소재 중심으로 전환해 저탄소 고부가가치 구조로 개편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 이전과 공급망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모델 확산도 지원한다.
통상 정책에서는 보호무역주의와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해 견고한 경제 안보 체계 구축에 나선다. 수출 상품과 시장, 주체의 다원화로 대외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무역 체계를 만들고, 글로벌 남반구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로 경제 영역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서해안 초고압 직류 송전망 조기 완공과 2040년대 한반도 U자형 전력 인프라 완성을 위해 민간 건설 능력을 적극 활용한다. 한국전력공사의 분할 발주 방식 대신 설계부터 완공까지 일괄 수행하는 턴키 방식 도입으로 공사 기간 단축 효과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2030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인 78기가와트를 상향 조정하고, 해상 풍력과 태양광 설치 지역 확대, 이격 거리 규제 완화 등 제도 개선을 병행한다.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해 기업 유치와 지역 균형 발전을 동시에 추진한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과 수단을 전면 재정비하고, 해외 탄소 규제에 대응한 기업 지원 체계도 강화한다. 재제조와 재사용, 재활용 등 순환 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민간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국정과제 실행력을 제고하고, 성과를 정기적으로 점검해 산업 현장과 국민 생활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