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강화 조치로 5대행 주담대 마이너스 전환…이달 증가폭 1조원대 예상

2025.09.14
가계대출 강화 조치로 5대행 주담대 마이너스 전환…이달 증가폭 1조원대 예상

연이은 강력한 가계부채 억제 정책에 힘입어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14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이달 11일 현재 가계부채 잔액은 763조702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1717억원 증가했다.

일평균 증가규모는 156억원 수준으로 지난달(1266억원)과 비교해 8분의 1에 그쳤다. 현재 추세가 지속된다면 9월 전체 가계부채 증가규모는 약 4700억원에 머물러 올해 1월(-4762억원) 이후 가장 작은 폭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가계부채를 주도해온 주택담보대출이 역성장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담대 잔액은 607조6190억원으로 8월 말보다 524억원 감소했다. 월단위 기준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경우 지난해 3월(-4494억원) 이후 1년6개월 만에 처음이다.

반면 신용대출은 104조790억원에서 104조2613억원으로 1823억원 늘어났다. 금융당국의 고강도 규제 효과가 본격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6·27 조치를 통해 수도권·규제지역 주택 구매용 주담대 상한선을 6억원으로 설정했다.

규제 발표 이전 급증한 대출 계약건들이 2개월 시차를 두고 지난달까지 잔금 대출로 이어졌으나, 이러한 수요가 소진되면서 이달부터 주담대 감소세가 본격화된 것이다. 하반기 은행별 대출목표를 절반으로 축소한 조치도 영향을 미쳤다. 은행들은 축소된 목표 달성을 위해 중개업체 대출을 중단하는 등 대출 조건을 대폭 강화했다.

9·7 대책으로 수도권 1주택자의 전세대출금 상한이 3억원에서 2억원으로 줄어들고, 서울 강남·용산 등 규제지역의 담보인정비율이 집값의 40%로 조정되면서 대출 억제 기조가 더욱 강화됐다. 하지만 실제 주거 수요자들의 고충은 깊어지고 있다.

금융권 상담 사례를 보면, 자녀 교육이나 결혼 등을 위해 주거지 이전을 계획했던 중산층 실수요자들이 대출 조건 악화로 계획을 포기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6·27 규제 이전 대비 대출 가능액이 20% 이상 축소되는 사례가 빈발하면서 실수요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 시기를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통해 경제성장 하방압력 완화를 위한 추가 대응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서울 지역 집값 상승세와 완화적 금융여건의 주택가격 기대심리 영향을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대출 억제 정책이 지속될 경우 진정한 주거 수요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서울 강북권 상급지를 희망하는 중산층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