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귀금속 시세가 연일 신고점을 갈아치우면서 국내 은행권의 금 투자 상품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골드뱅킹 예치금이 역사상 처음으로 1조2000억원 선을 넘어서며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4일 금융업계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 3곳의 골드뱅킹 예치 규모는 11일 현재 1조2367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8월 마지막 날 1조1393억원과 대비해 단 11일 사이에 974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연초 이후로는 무려 4545억원의 신규 자금이 몰려들었다.
골드뱅킹은 계좌를 활용해 금을 매매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3개 금융기관의 해당 상품 잔고는 2023년까지만 해도 5000억원에서 6000억원 수준에 머물렀으나, 작년 후반부터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올 3월 최초로 1조원을 돌파한 이후 4월 말 1조1025억원까지 확대됐다가 잠시 주춤했지만, 이번 달 들어 다시 1조2000억원대 진입에 성공했다.
이 같은 현상의 배경에는 미국의 무역정책 변화에 대한 불안감과 경제 전반의 불투명성이 자리 잡고 있다.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투자자들은 전통적인 피난처 자산인 금으로 눈을 돌리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국제 금시세는 지난주 현물 기준 트로이온스당 3600달러를 최초로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국내 금시장 역시 상승 기류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거래소 KRX 금시장에서 12일 1kg 금괴는 그램당 16만5100원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는 지난해 연말 대비 29.1% 높아진 수치다. 지난 9일에는 16만7740원까지 치솟아 2월 최고점인 16만8500원에 거의 근접하기도 했다.
현물 금괴에 대한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금괴 매출액은 이달 1일부터 11일까지 373억1700만원을 기록했다. 열흘 남짓한 기간에 8월 전체 실적 373억7500만원과 맞먹는 수준에 도달한 셈이다. 현재 추세가 지속될 경우 공급 부족으로 판매 중단 사태까지 벌어졌던 2월의 882억9300만원 기록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올해 누적 금괴 매출 규모는 약 3628억원에 달해 이미 작년 연간 실적 1654억원의 2.2배를 상회했다.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작년 5월 처음 100억원 선을 넘긴 후 100억원에서 200억원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2월 800억원대로 급증했다.
금 투자 열풍은 은 시장으로까지 확산되는 모습이다. KB국민·신한·우리·NH농협 4개 은행의 실버바 매출액은 8월 10억5900만원을 달성하며 월간 10억원을 사상 최초로 돌파했다. 이달에도 11일간 7억5100만원의 매출을 올려 8월 기록 경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연간 누적 실버바 매출은 49억8100만원으로 작년 전체 8억원의 6.2배에 이른다.
5대 은행 중 유일하게 실버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한은행의 '실버리슈' 잔액도 11일 기준 810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800억원 선을 넘어섰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금시세가 재차 급등하면서 고객들의 귀금속 관련 상품 문의가 크게 늘었다"면서 "가격 상승 효과뿐 아니라 거래량 자체도 확대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