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가 17일 정례회의에서 57건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추가로 승인하며, 누적 승인 건수는 886건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을 통해 금융 소외계층과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금융시장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가장 주목받는 서비스는 통신대안평가가 제안한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신용평가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는 휴대전화 요금 결제 내역과 같은 통신 관련 데이터를 신용평가에 반영하여, 기존 금융거래 기록이 부족한 청년층과 주부들도 신용도 측정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포용적 금융 서비스가 확산되고 금융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분석된다.
해외 투자자들을 위한 편의성도 대폭 강화된다. 삼성증권과 유안타증권이 신청한 통합계좌 기반 국내주식 거래 서비스가 승인되면서, 비거주 외국인들이 별도 계좌 개설 절차 없이도 해외 증권회사를 통해 코스피·코스닥 주식과 ETF 등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나증권에 이어 두 번째, 세 번째 사례로, 국내 증권시장에 신규 자금 유입과 투자 주체 다양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NH투자증권의 증권담보 대출 전환 서비스도 새롭게 도입된다. 타 증권사에서 주식이나 채권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고객들이 더 유리한 조건의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증권담보대출 시장 내 경쟁 심화와 금리 하락 효과가 예상된다.
신한금융그룹 계열사들은 보이스피싱 방어를 위한 통합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 시스템은 의심스러운 금융사기 거래가 감지될 때 그룹 내 자회사들이 고객 정보를 즉시 공유하여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인공지능 기술 활용 범위도 확대된다. 케이뱅크, 카카오페이, 토스증권 등 11개 금융기관이 생성형 AI를 내부 업무와 고객 서비스에 도입할 수 있게 됐다. 다만 보안성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의 AI 모델만 사용 가능하며, 서비스 시작 전 금융감독원에 보안 평가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한편 금융위는 2021년부터 특례로 운영되어온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 서비스의 제도화 작업에도 착수한다고 밝혔다. 한국예탁결제원과 18개 증권회사가 요청한 이 서비스는 약 4년간의 안정적인 운영 실적을 바탕으로 정식 제도권으로 편입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