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유동성 위기 심화...대규모 폐점에 지역경제 타격 우려

2025.09.17
홈플러스 유동성 위기 심화...대규모 폐점에 지역경제 타격 우려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지 반년이 지난 홈플러스가 심각한 자금난으로 전력공급 중단 위험까지 직면하며 경영정상화에 빨간불이 켜졌다. 매출채권 구조화상품 투자피해자들과 노조, 지역주민들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어 사태해결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8월 사용분 전력요금을 납부하지 못한 상황에서 각 매장에 비상발전기 연료 확보와 냉동냉장 차량 사전 섭외 등 단전 대비책을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3대 사회보험료 체납도 이어지고 있어 유동성 악화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매각작업 역시 답보상태다. 회생계획서 제출 마감일이 11월 10일로 재차 연장됐지만 쿠팡, GS그룹, 농협 등 거론된 인수 후보군들은 모두 검토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 온라인 유통 급성장으로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매력도가 떨어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운영비 절감을 위해 전국 매장 영업시간을 오후 10시로 단축하면서 시민 불편도 가중되고 있다. 수원 야구장 인근 홈플러스 북수원점에서는 경기 종료 시간과 맞물려 관람객 차량 30여대가 주차장에 갇히는 소동까지 벌어졌다.

임차료 협상 결렬로 결정된 15개 매장 폐점도 본격화되고 있다. 울산 남북구점, 부산 장림감만점 등이 11월부터 순차 문을 닫을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입점업체에 순매출 30%의 3개월치 보상안을 제시했지만 시설투자비 등이 제외돼 반발을 사고 있다.

지역사회 파급효과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1곳 폐점시 직간접 고용인력 최대 1000명이 일자리를 잃고 연간 2000억원의 경제손실이 발생하며 인근 주택가격은 최대 34% 하락할 수 있다. 광주 계림점 폐점 후 주변상가 공실률이 크게 늘어난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4000억원 규모 매출채권 유동화 전자단기사채 투자자들도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들은 하나증권 등 판매 증권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과거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처럼 원금 선가지급을 요구했다. 금융감독원이 증권사의 유동성 지원을 불건전 영업행위로 보지 않는다고 답변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치권도 대응에 나섰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농성장을 직접 방문해 정부차원 대책을 약속했고, 더불어민주당은 19일 원내대표단이 홈플러스 본사를 찾아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적극적 정상화방안을 촉구할 예정이다. 국정감사에서 김병주 MBK 회장 소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M&A가 성사되지 않으면 추가 폐점이나 분할매각, 최악의 경우 청산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10만여명의 일자리와 수천개 협력업체가 연결된 만큼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할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