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침체된 비수도권 경제 회복과 지역 활력 증진을 위해 대규모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행정안전부는 15일 범부처 협력을 통해 인구감소와 재해 피해 지역 등 전국 141개 기초지방자치단체와 중앙부처 간 상생 결연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연 사업은 지난 7월 제33회 국무회의와 8월 경제관련 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지방경제 상생 소비 진작 대책의 핵심 과제다. 민생 회복 지원금 등을 통한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외 지역의 경기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경북 14개 시군과 대구 4개 구가 결연에 참가한다. 기획재정부는 이미 지난달 봉화군과 협약을 체결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군위군과 연결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영천·성주와, 법무부는 김천·청송과 각각 매칭됐다. 보건복지부는 울진군과 함께 교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영덕군과 협력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상주시와 결연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경주시와, 고용노동부는 경산시와 각각 연계된다. 국가보훈부는 의성군·칠곡군과, 국가유산청은 고령군과 협약을 맺는다. 국무조정실은 영주시와 교류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예천군과, 국토교통부는 청도군과 각각 연계된다. 교육부는 문경시와, 특허청은 구미시와 결연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포항시와, 환경부는 안동시와 각각 협력한다. 행안부는 영양군·울릉군과 매칭됐다. 대구에서는 남구가 관세청과, 서구·동구가 각각 공정거래위원회와 짝을 이룬다.
향후 중앙정부 기관들과 공공조직, 민간기업들은 결연 지역과 고향사랑 기부제 참여, 원격근무 휴양지 방문, 지방 특산물 구입 등 실질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폭넓은 교류를 전개할 예정이다. 각 시군구마다 최소 2개 기관과의 연결을 목표로 하며, 중앙부처는 행안부가, 공공기관은 기재부가, 민간기업은 산업부가 각각 결연을 지원하고 행안부가 전체를 총괄한다.
기재부 조사 결과 전체 85개 공공기관이 78개 지자체와 결연 협약을 체결하고 지역특산물 구매, 조직 연수 개최 등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경제계 4개 단체를 통해 민간기업들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20여개 기업이 사업장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여행경비 지원, 전통시장 구매, 지역축제 후원 등 참여 의지를 표명했다.
행안부는 중앙부처를 시작으로 결연 정책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으로 확산되고, 단발성 행사를 넘어서 지속적인 상생 관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범부처 협업을 통해 성공·감동 사례를 홍보하고 문제점을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결연이 새로운 인연으로 발전해 대한민국이 희망으로 촘촘히 연결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며 "지역과의 상생 교류를 통해 지방이 새로운 활력을 찾고 지역경제가 신속히 회복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