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여전사 대표들에게 "정보보호 의무 철저 준수…위반 시 엄중 책임"

2025.09.16
이찬진, 여전사 대표들에게 "정보보호 의무 철저 준수…위반 시 엄중 책임"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신전문금융회사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금융소비자 정보보호 의무 철저 이행을 거듭 강조하며, 보안 규정 위반 시 무거운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14개 여전사 최고경영자 및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과 함께한 간담회에서 "최근 발생한 금융권 사이버 침해사고를 자성의 기회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최근 롯데카드 해킹 사건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는 "단기 성과에만 집중하여 장기적 보안 투자를 등한시한 결과는 아닌지 성찰이 필요하다"며 "정보보호 관련 투자는 단순한 지출이 아닌 금융기관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이자 핵심 투자"라고 역설했다. 특히 카드업계를 향해서는 "국민 전체의 정보를 취급하는 특성상 보안에 대한 강한 위기의식을 지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단 한 건의 사고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무관용 정책을 천명하며, 최고경영진이 직접 나서서 사이버 보안체계를 전면 점검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신용정보법 등 관련 법규에서 정한 보안방안 마련 및 실행에 최선을 다하라고 당부했다.

소비자 중심의 업무 체계 전환도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해킹 등 비상시에 소비자가 카드 이용 정지나 재발급 등 자구책을 신속히 활용할 수 있도록 앱·웹사이트·고객센터 등 접근 경로의 획기적 개선을 주문했다. 또한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 확대를 위해 장기 연체자 소액 채권의 소멸시효 연장 억제, 노년층 카드포인트 이용 활성화 등을 언급했다.

내부 관리체계 강화와 건전성 유지도 핵심 사안으로 다뤄졌다. 내년 도입 예정인 책무구조도 제도의 철저한 준비와 함께, 상승세를 보이는 연체율 관리를 위한 선제적 대응을 당부했다. 카드사 연체율은 올해 상반기 1.76%로 전년말 대비 0.11%포인트 증가했으며, 비카드사도 2.10%에서 2.43%로 높아진 상황이다.

정부의 '생산적 금융' 정책 동참 차원에서 신기술 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확대도 요청했다. 신기술사업자 투자 규모가 2021년 8조30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조원으로 감소한 점을 지적하며, 기술 기반 성장기업에 대한 투자 늘리기를 주문했다.

이날 참석한 여전사 CEO들은 금융소비자 보호 및 중소기업 자금 지원 필요성에 동감하면서도, 결제시장 경쟁 가속화와 경기 위축에 따른 수익성 악화 등 경영 애로사항을 토로하며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이 원장은 "국민의 여전사 안전성에 대한 신뢰 상실은 업계 존립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며 향후 감독·검사 과정에서 업계 건의사항을 적극 수용하고 불필요한 규제 완화 등 제도적 뒷받침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