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94% "내국인 구인 곤란으로 해외인력 채용"

2025.09.16
중소기업 94% "내국인 구인 곤란으로 해외인력 채용"

국내 중소기업의 94%가 내국인 직원 확보가 곤란해 해외인력을 채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해외인력을 활용 중인 50인 이상 중소기업 503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년 해외인력 고용 사업주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참여 업체의 93.8%가 내국인 직원 모집이 어려워 해외인력을 채용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임금비용 절약을 목적으로 한다고 답한 기업은 2.6%에 불과해, 고용허가제를 통한 해외인력 활용이 비용 절감보다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구조적 노동력 부족 해결의 핵심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답 업체의 98.2%는 해외인력 채용 규모를 '현 수준 유지 또는 증가'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증가시킬 경우 평균 채용 예정 인원은 6.5명으로 집계됐다. 앞으로 3년간 고용허가제 활용 전망에 대해서는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5.5%로 가장 많았고, '현재 수준 지속' 41.7%, '감소' 2.8% 순이었다. 이는 중소업체 절반 이상이 향후 경기를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해외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계속될 것임을 의미한다.

참여 업체의 60.8%는 '현재 근무 중인 직원과 같은 국적'의 해외인력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노동력 관리 효율성 측면에서 같은 국적의 직원을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해외인력 선정 과정에서 성실성과 품성을 직접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직접 고용 경험이나 주변 추천을 토대로 국가를 결정한다고 답했다.

2023년 9월부터 운영 중인 해외인력 숙련기능인력 전환(K-point E74) 제도의 주요 어려움으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인프라 부족(27.4%), 관련 행정비용 부담(20.8%)이 지적됐다. 추가 의견으로 서류 절차 및 기관(출입국관리소, 고용센터 등) 이용 불편(12.5%)이 제기되며, 행정절차의 편의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주 4.5일제 시행 영향과 관련해서는 응답 업체의 42.1%가 '납품일정 준수 곤란'을 가장 큰 우려사항으로 꼽았다. 24.1%는 '임금비용 부담 및 지출 증가'라고 답해 제도 시행 시 사업장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해외인력 고용 중소업체들이 채용을 유지·증가하려는 시점에서 고용허가제의 안정적 시행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주 4.5일제 도입으로 인한 중소업체 생산량과 매출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제도 논의에 앞서 중소업체 업종·규모별 특성과 현장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