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 집중도 10대 수출국 중 최고 수준…시장·품목 다변화 시급

2025.09.18
한국 수출 집중도 10대 수출국 중 최고 수준…시장·품목 다변화 시급

세계 주요 수출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수출 집중 현상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출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과 품목의 다각화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허핀달-허쉬만 집중도 지수(HHI)가 수출국 918, 품목 520을 기록하여 홍콩을 제외한 세계 10대 수출국 중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는 비슷한 무역 규모를 갖는 일본(892, 389), 프랑스(549, 118), 이탈리아(486, 108) 등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실제로 작년 기준 상위 10대 수출 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50.2%를 점유하여 주요국 중 유일하게 절반을 넘어섰으며, 상위 10대 수출국 비중 역시 70.8%로 가장 높은 편중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구조적 쏠림 현상은 대외 경제 여건 변화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연구진이 9만2385개 국내 수출기업의 최근 15년간 실적을 분석한 결과, 수출 대상국이 1개 추가될 때마다 수출 중단 리스크가 5.4% 줄어들고, 수출 품목 1개 증가 시에는 1.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을 계속 유지한 2만2755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수출국과 품목 수가 각각 1개씩 늘어날 때 연간 수출액이 7.8%, 1.1%씩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수출 경력이 5년 이하인 기업들의 절반 이상이 단일 품목·단일 시장에 의존하고 있어, 기업 규모와 발전 단계에 맞춤형 지원 방안이 요구된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중소기업에는 해외 구매업체 발굴과 마케팅 지원을, 중견기업에는 R&D와 현지화 지원을 확대하는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심혜정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우리 수출이 한층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특정 시장·품목 의존도를 낮추고 신흥시장과 신산업으로의 전략적 다변화가 시급하다"면서 "단순한 양적 확대가 아닌 AI 확산, ESG 요구 등 새로운 무역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질적 다변화를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