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서 운행 중인 160번 버스의 한 운전자가 승객으로부터 받은 뜻밖의 편지와 선물이 온라인상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16일 온라인 게시판에 올라온 이 사연은 작은 배려가 어떻게 더 큰 따뜻함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감동적인 이야기다.
사건의 발단은 마포경찰서 정류장에서 시작됐다. 중년 여성 승객이 버스에 오르며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댔지만 '잔액 부족'이라는 안내음이 흘러나왔다. 여성의 지갑에는 만 원 지폐 한 장만 있었지만,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버스였기에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
이를 지켜본 강 모 기사는 평소 고연령 승객들이 계좌이체를 힘들어한다는 점을 고려해 여성에게 카드 잔액을 물어봤다. 700원이라는 답을 들은 그는 "어린이 요금 550원으로 처리하겠다"며 자연스럽게 해결책을 제시했다. "너무 죄송하다"는 승객의 말에 기사는 "서로에게 편한 방법"이라며 밝게 웃으며 운행을 시작했다.
버스가 만석 상태로 종로5가를 통과할 무렵, 뒤쪽에 앉아있던 그 여성이 갑작스럽게 앞으로 나와 "여기서 내리겠다"며 기사의 손에 하얀 종이 한 장을 쥐어주고 급히 하차했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당황한 기사는 운행이 끝난 후에야 그 종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이를 펼쳐본 강 기사는 깜짝 놀랐다. 정성스럽게 손으로 쓴 편지와 함께 구겨진 만 원 지폐가 들어있었던 것이다. '삼양동으로 가는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승객은 편지에서 놀라운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편지 내용에 따르면, 이 여성은 당일 마포에서 휴대폰을 분실했지만 불과 10분 만에 경찰서 분실물센터에서 되찾을 수 있었다. 누군가 친절하게 주워서 신고해준 덕분이었다. 그리고 이어서 버스에서 또 다른 배려를 받게 된 것이다.
여성은 편지에서 "마포경찰서 민원실에는 기부할 수 있는 모금함이 없었다"며 "하루에 두 차례나 이런 친절을 받았으니 나도 무언가를 해야겠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동료와 시원한 음료수라도 드시라"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이 뜻밖의 선물을 받은 강 기사는 회사 관리자에게 상황을 보고했고, "승객의 감사 표시이니 받아도 된다"는 허가를 받았다. 그는 "퇴근 시간대라 몸이 지쳐 힘들었는데, 이 소중한 선물 때문에 오히려 에너지가 샘솟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 따뜻한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세상이 아직 살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배려가 이렇게 큰 감동으로 돌아오는구나", "사람 냄새 나는 정겨운 이야기"라며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상 속 작은 친절이 어떻게 선한 영향력의 연쇄반응을 만들어내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