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상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다루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4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과 신범철 전 국방부차관을 연이어 불러 집중 수사를 벌였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오전 10시 3분경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도착했다. 그는 취재진의 '방첩부대장과 윤 전 대통령 격노 관련 내부 입막음을 계획했는지',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절차에 압력이 있었는지', '신 전 차관이 박 대령 해임을 지시했는지' 등의 질의에 일절 응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모해위증 혐의를 받는 김 전 사령관은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에게 'VIP 격노'를 최초로 알린 핵심 인물로 거론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수사개입 의혹 해결의 열쇠를 쥔 인물로 평가받는다.
김 전 사령관의 특검 출석은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 7월 두 차례 조사 후 체포영장이 신청됐으나 기각되었고, 지난 12일 재차 소환되었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의 기존 입장을 다시 확인하면서 지금까지 수집한 관련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압력 상황을 추궁하는 등 혐의 입증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사령관은 이전 특검 조사에서 VIP 격노설과 관련한 진술을 회피하거나 부인해왔지만, 체포 전 피의자 심문 과정에서는 태도를 바꿔 격노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특검은 같은날 오후 1시 신 전 차관의 세 번째 피의자 조사도 실시했다. 신 전 차관은 조사실 진입 전 '윤 전 대통령이 직접 기록회수 상황을 점검했는지'라는 물음에 "현재 사실에 따라 모든 것을 말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대통령이 박 대령 보직해임을 명령했는지'에 대해서는 "그런 일은 없었다. 분명히 말씀드리겠다"고 답변했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이 2023년 8월 2일 해병대수사단의 사건기록 경찰 이송 당일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김동혁 국방부검찰단장 등과 소통하며 수사기록 수정 및 회수 절차에 깊숙이 개입한 의혹을 조사하고 있다.
아울러 특검은 이날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이종섭 전 국방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에서 국가안보실의 개입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