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K투자증권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자동차에 부과되는 25% 관세가 올해 안에 완화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현욱 연구원은 16일 일본산 자동차의 미국 관세가 27.5%에서 15%로 낮아지는 것과 비교하며 "7월 22일 협정 체결에서 실제 적용까지 56일이 소요됐다"고 분석했다.
영국의 사례를 보면 미국이 지난 5월 영국산 자동차 관세를 27.5%에서 10%로 내리기로 결정한 후에도 실행까지 53일이 걸렸다. 연구원은 "9월 말에 한미 간 협상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더라도 연내 자동차 및 부품 관세 인하는 현실적으로 제약이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이 미국 시장에서 부담을 덜게 되는 반면, 한국 자동차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 저하라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할 전망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경우 현재 관세 수준이 지속될 시 매월 각각 4천억원과 3천억원 규모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미 관세 협정 서명이 지연되면서 25% 관세율의 영향이 3분기부터 실적에 본격 반영되고, 미국 자동차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하반기 수익성이 예상치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제시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의 25% 관세를 그대로 부담하고 있어 올 3분기 수익성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4월부터 한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적용해왔으며, 한미 양국이 15% 관세로 합의했음에도 대미 투자 펀드 관련 협상이 길어지면서 실행이 지연되고 있다.
이달 말까지 관세 인하 조치가 나오지 않으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3분기 전체 기간 동안 25% 관세를 감당해야 하며, 이 경우 현대차·기아의 3분기 관세 부담액만 2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간으로는 10조원 안팎의 관세 부담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올해 2분기 미국 관세 부과 영향으로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은 1조6천억원 감소했으며, 각각 8천282억원과 7천860억원의 영업이익 하락을 기록했다. 특히 2분기에는 미국 내 재고를 활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3분기 타격은 더욱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가운데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오는 18일 미국 뉴욕에서 첫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관세 대응 방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뉴욕 더 세드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현대차가 해외에서 개최하는 최초의 CEO 인베스터 데이로, 중장기 전략과 경영성과 목표를 발표하는 자리다.
무뇨스 사장은 미국 시장의 판매 호조를 토대로 중장기 투자 계획과 수익성 향상 전략을 투자자들과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4년간 미국에 총 26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확정한 바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현지 생산 및 투자 강조 정책에 맞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지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