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로 저소음 잠수함 탐지 성공률 95%…"잠수함 시대 종료" 경고

2025.09.15
AI 기술로 저소음 잠수함 탐지 성공률 95%…"잠수함 시대 종료" 경고

해양 전력의 핵심이었던 잠수함이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그 존재 의미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중국 연구진이 공개한 AI 기반 탐지 시스템이 기존 잠수함 전략의 근본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국항공공업그룹 소속 헬리콥터설계연구소의 멍하오 수석 엔지니어가 주도한 연구진은 지난 8월 동료심사 저널을 통해 혁신적인 대잠전 시스템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해당 시스템은 음성 탐지 부표, 해저 센서, 레이다, 해수 온도 및 염도 정보를 통합 분석해 수면 하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시뮬레이션 테스트에서 이 체계는 잠수함의 생존 가능성을 단 5%까지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즉, 20척의 잠수함 중 겨우 1척만이 발견과 공격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다. 잠수함이 지그재그 항해, 소음 차단, 허위 신호 등 다양한 회피 기법을 동원해도 약 95% 확률로 추적에 성공했으며, 심지어 무인기를 활용한 교란 작전에도 불구하고 AI는 목표물을 놓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단순한 발견을 넘어 잠수함의 향후 행동까지 예측하는 능력을 갖춘 3단계 구조로 설계됐다. 인식, 판단, 인간-기계 협력의 단계를 거쳐 작동하며, 향후 공중 무인기, 수상 함선, 수중 무인정과의 연계를 통해 입체적 추적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대잠전에서 고도의 기만 장치를 보유한 정숙 잠수함의 생존률은 85%에 달했으나, 이러한 AI 기술의 등장으로 잠수함 중심의 전략이 시대착오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각국이 군사 영역에서 AI 도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보이지 않는' 잠수함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가디언도 최근 "신기술이 해양을 투명하게 만들어 오커스 핵잠수함이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며 잠수함을 "수십억 달러짜리 관"으로 표현한 바 있다. 이 매체는 잠수함 탐지와 은밀성을 둘러싼 군비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이 AI 결합 탐지 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상하이교통대학은 작년 기존 탐지 범위의 10배인 20km 거리에서 전자기파를 포착하는 센서 개발을 발표하는 등, 중국의 잠수함 탐지 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주로 호주가 미·영과 체결한 오커스 안보협력을 통해 도입할 핵추진 잠수함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플린더스대학의 앤 마리 그리소고노 박사는 "2050년대 호주의 오커스 핵잠수함이 운용될 시점에는 과학기술 진보로 인해 전 세계 해역에서 핵잠수함 탐지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AI가 모든 탐지 기술의 촉진제 역할을 한다"고 전망했다.

미국 뉴아메리카재단의 피터 싱어 연구원은 "탐지 가능하면 파괴 가능하다는 원리"를 언급하며 "최상위 포식자들이 이제 피식자가 되는 상황을 경계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래 해저전이 유인 잠수함 간 대결이 아닌 무인잠수정을 포함한 첨단 기술로 무장한 혼합 함대 간 교전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