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김정은 '통일 포기 정책' 중러에 지지 호소…김여정 "한미훈련은 무모한 도발"

2025.09.14
北김정은 통일 포기 정책 중러에 지지 호소…김여정 "한미훈련은 무모한 도발"

북한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전환하고 평화통일을 포기하는 정책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에 지지를 요청하며 국제 외교 공세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교도통신은 13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중러 정상들에게 이 같은 정책 변화의 배경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4일 베이징에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남북 평화통일 방침 포기에 따른 정책 경위를 상세히 밝히며 중국 측의 지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회담 이후 중국 당국의 공식 발표문에는 이와 관련된 지지 표명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시 주석은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줄곧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견지해왔다"며 평화와 안정 유지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일반적 입장만 밝혔다.

이에 앞서 3일 러시아에서 진행된 북러 정상회담에서도 김 위원장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동일한 내용을 언급했으며, 푸틴 대통령은 이에 대해 지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또 지난 8월 말 태형철 사회과학원장을 몽골에 파견해 '적대적 두 국가' 개념과 통일 포기 방침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북한의 학술기관 최고 책임자가 몽골을 방문한 것은 약 8년 만의 일이다.

북한은 이달 하순 열리는 유엔총회 일반토론에서도 고위급 인사를 연설자로 내세워 핵무기 보유의 정당성과 함께 한반도 정세에 대한 자국의 입장을 적극 개진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오는 15일부터 5일간 실시되는 한미 및 한미일 연합훈련에 강력 반발하며 "무모한 힘자랑질은 스스로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 확산 시도에 대해 북중러 연대 구축의 현실적 한계를 지적하면서도, 우리 정부가 '차가운 공존' 상황에 대비한 현실적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북한이 내부적 선언을 넘어 주변국들에 정책 변화를 적극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 긴장 상황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