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문 일정이 마무리되는 즉시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공식 승인할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 일간지 더 타임스는 17일 현지시간 기준으로 키어 스타머 총리가 20일 전후로 이러한 결정을 공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여당인 노동당 내부에서는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대한 압력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노동당 소속 의원 130여 명이 팔레스타인 주권 승인을 촉구하는 서한에 서명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각 구성원 가운데서도 3분의 1에 달하는 인원이 스타머 총리에게 동일한 요구사항을 제기하는 등, 당 내부에서는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이 기정사실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스타머 총리는 "가자 지역의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의 시급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며 "현재가 바로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이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사안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합동 기자회견에서 주요 갈등 요소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표 시점을 연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 팔레스타인의 국가 승인은 무장단체 하마스의 테러 활동에 대한 보상과 같다며 강력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영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 미국의 핵심 동맹국들도 뉴욕에서 개최되는 유엔 총회 기간 중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은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당분간 유보하는 방향으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신문과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중동 지역 정세 악화 가능성과 미국과의 동맹 관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이 같은 판단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이시바 시게루 총리도 22일 유엔에서 예정된 팔레스타인 문제 관련 고위급 국제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 측에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보류를 요청했으며, 반대로 프랑스는 일본에 강력한 승인 요구를, 영국은 기대감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그동안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유지해왔으나, 실질적인 국가 승인은 미루기로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