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타격을 받은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대안적 판매경로를 적극 모색하고 나섰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7일 보도했다.
미 정부는 16일부터 일본산 완성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7.5%에서 15%로 조정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전 적용됐던 2.5% 수준과 비교할 때 여전히 상당한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조치로 2025회계연도 영업수익이 약 2조6천억엔 규모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여건 변화에 대응해 미쓰비시자동차는 남미 지역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기존에는 브라질 현지 협력업체를 통한 위탁생산 방식으로 해당 시장에만 공급했으나, 향후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인근 국가들로 수출 범위를 늘릴 방침이다. 회사 측은 견고한 외관 디자인과 험로 주행 능력 등 자사 브랜드의 특성이 남미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마쓰다는 수익성 저하를 이유로 멕시코 생산기지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소형차 출하량을 의도적으로 조절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즈 자료를 보면, 지난 8월 멕시코발 미국행 '마쓰다3' 수출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57% 하락했으며, 컴팩트 SUV 'CX-30' 역시 37% 감소했다. 대신 캐나다와 콜롬비아 등으로의 수출 비중을 늘려 판매망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글로벌 1위 완성차업체인 도요타는 유럽 지역에서의 전기차 사업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2028년부터 체코 현지법인을 활용해 연간 10만대 규모의 전기 SUV 생산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미일 양국이 지난 7월 22일 관세율 조정에 합의한 후 실제 시행까지 56일간의 공백기간 동안 일본 자동차 7개사는 하루 평균 30억엔에 달하는 추가 비용을 감내해야 했다고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관세 체계 하에서 일본차의 미국 내 판매가격이 10-15%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장기적 관점에서 판로 다각화가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공급망 재편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당분간은 전 세계적 판매 네트워크 재검토가 고관세 대응의 주요 방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