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G7 회원국과 EU를 대상으로 중국·인도에 대한 높은 관세 도입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난색을 표명했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장관은 16일 내각회의 종료 후 언론 브리핑에서 "특정 국가들이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한다는 이유만으로 높은 세율의 관세를 매기는 것은 어렵다"고 입장을 밝혔다.
가토 재무장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과 대러시아 제재 강화와 관련해서는 "어떠한 방안이 최고의 효과를 발휘할지 일본 차원에서 면밀히 살펴보겠다"며 신중한 검토 의사를 나타냈다. 이는 성급한 관세 부과보다는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일본의 시각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 유럽연합에 이어 이번에는 주요 7개국에도 러시아산 석유 수입국들에 대한 고율 관세 적용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요구는 명백히 중국과 인도를 겨냥한 조치로 분석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측은 이들 국가에 최대 100%에 이르는 징벌적 관세 부과를 G7 동맹국들에게 제안했다고 전해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료를 위해 러시아산 에너지 구매국들에 대한 포괄적 압박을 지속해왔다. 당초 EU를 대상으로 시작된 이러한 압력이 이제 G7 파트너 국가들로까지 확산된 상황이다.
한편 일본 내각은 곧 개편될 예정이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퇴진 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10월 4일 집권 자민당 대표 선출이 예정되어 있다. 내각 총사퇴시 가토 재무상도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지만, 그는 유력 총재 후보인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의 선거 운동을 진두지휘하고 있어 향후 정권에서도 핵심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