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와 연결된 10일간의 대형 휴가철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가 좌절될 전망이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장이 다음달 10일을 특별휴일로 지정해달라는 정부 건의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 표명했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은 지난 14일 국회에서 진행된 언론 브리핑에서 "당 차원에서 휴일 지정 관련 건의를 할 예정이 없다"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다음달 추석 기간 동안 최대 열흘간의 대형 연휴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올해 추석 명절은 다음달 6일 월요일로, 연휴 시작일이 일요일(5일)에 해당해 8일이 보상휴일로 확정된 상황이다. 따라서 개천절인 3일 금요일부터 한글날인 9일 목요일까지 주말 포함 일주일간의 휴무가 예정되어 있다. 만약 10일 금요일까지 휴일로 연장된다면 주말과 맞물려 추가로 3일의 휴식이 더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가 이미 10일 특별휴일 지정에 대해 "검토해본 적이 없다"는 소극적 반응을 보인 데 이어, 여당마저 건의 의향이 없다고 선언하면서 대형 연휴 실현 가능성은 극히 낮아진 상태다.
민주당은 오는 15일 '추석 민생안정방안' 당정 간담회를 통해 서민 물가 안정화와 밀린 임금 해결 방안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한 정책위원장은 "명절 대표 품목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서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다는 체감이 들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밀린 급여 문제가 해결돼 명절을 가족들과 즐겁게 보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가동 문제에 대해서는 유보적 입장을 드러냈다. 한 위원장은 "민생경제협의체 운영도 바람직하지만,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부적절한 발언을 한 상황에서 아무 일 없었던 듯 협상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송 원내대표의 사과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갈등은 지난 9일 정청래 민주당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 과정에서 발생했다. 정 대표가 "'노상원 수첩'이 실제로 성공했다면 이재명 대통령과 본인도 생존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언급하자, 국민의힘 의원석에서 "정말 그랬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반응이 나온 것이다. 민주당은 이를 송 원내대표의 발언으로 규정하고 공식 사과를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