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묘지 침수 문제, 생분해 유골함으로 해결나서

2025.09.15
국립묘지 침수 문제, 생분해 유골함으로 해결나서

국가보훈부가 전국 12개 국립묘지에서 발생한 유골함 침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내놓았다. 15일 발표된 대책에 따르면 앞으로 유족이 원할 경우 생분해 소재로 만든 환경친화적 유골함으로 다시 모실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문제의 발단은 올해 들어 5·18민주묘역과 임실·영천호국원 등에서 이장 과정 중 도자기 재질의 유골함에서 침수 사례가 잇따라 발견된 것이다. 보훈부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조경·토목·장례 분야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을 꾸려 현장 점검에 나섰다.

전문가 조사 결과, 봉안묘 방식으로 땅속에 도자기 유골함을 묻을 경우 배수 체계가 양호하더라도 집중호우나 이슬 맺힘 등의 영향으로 내부에 수분이 축적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현상은 민간 봉안시설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구조적 문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보훈부는 유족의 요청이 있을 시 기존 유골함을 종이 재질의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하는 재안장 작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절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각 묘지에 배포하고, 신청 현황에 맞춰 단계별로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동시에 새로운 국립묘지 조성 시에는 유골을 환경친화적 용기에 담아 잔디밭 아래나 인근에 모시는 자연장 구역을 함께 만들어 유족들의 선택 폭을 넓히기로 했다. 현재 4·19민주묘지와 5·18민주묘지에서 사용 중인 석관은 배수를 방해하고 침수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유로 사용을 전면 중단한다.

배수 인프라 개선도 병행된다. 지하수 수위를 관찰하고 외부로 빼내는 집수정을 설치하는데, 이미 대전현충원에 운영 중이며 올해부터 임실호국원을 시작으로 다른 묘지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또한 묘역 지하에 자갈과 구멍 뚫린 관을 묻어 만드는 배수로인 맹암거도 설치한다. 대전현충원은 관련 공사가 진행되고 있고, 5·18민주묘지는 연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취약 지역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봉안묘가 있는 국립묘지마다 침수 측정 전용 유골함을 설치해 3개월마다 상태를 확인하기로 했다. 앞으로는 6개월 간격으로 전문가와 함께 배수 상황을 점검하고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할 방침이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이날 "유골함 침수로 인해 유가족과 국민 여러분께 걱정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거듭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며 "이번 대책을 빠짐없이 실행해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께 마지막까지 정성을 다하는 예우를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