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승절 열병식 기세로 대규모 군사포럼 개막

2025.09.16
中 전승절 열병식 기세로 대규모 군사포럼 개막

이달 초 항일전승 80주년 대규모 열병식을 통해 군사적 위용을 세계에 과시했던 중국이 이번에는 국제 안보포럼을 무대로 '군사 굴기' 행보를 이어나간다. 16일 관영 신화통신과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17일부터 19일까지 베이징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12회 상산포럼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국제질서 공동수호와 평화발전 촉진'이라는 주제 하에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00여개국에서 국방·군사 책임자들과 안보 전문가, 연구기관 관계자 등 총 1800여명이 모일 예정이다. 2006년 중국 국방부가 시작한 연례 다자간 안보회의인 상산포럼은 중국판 샹그릴라 대화로 평가받으며, 중국의 안보 전략과 국제질서 구상을 알리는 핵심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국방부장이 직접 주관하는 이번 포럼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이 축하 메시지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지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로이터 통신은 안보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시 주석이 지난 3일 전승절 열병식에서 언급했던 국제질서 비전을 이번 포럼을 통해 구체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열병식에서 시 주석은 패권주의와 강권정치에 맞선 단결을 역설했는데, 이는 미국을 겨냥한 우회적 비판으로 해석되고 있어 이번 포럼에서도 대미 견제 발언이 나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참석자들은 열병식에서 공개된 중국의 첨단 무기체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으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 중국은 전세계를 타격권으로 하는 핵탄두 탑재 미사일 DF-5C와 장거리 미사일 DF-61, 최대 사정거리 5000㎞급 DF-26D,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DF-17 등을 대거 선보였다. 또한 미군 항모를 원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는 YJ-21 초음속 미사일과 미 본토 전체를 사정권에 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JL-3 등도 공개해 주목받았다.

제임스 차르 싱가포르 난양공대 국제문제연구소 교수는 "이번 상산포럼 참가국 대표단들이 인민해방군의 무기체계 관련 기술정보를 더 많이 확보하려 할 것"이라며 "중국의 발전하는 군사현대화와 세계 최대 규모 군대인 인민해방군 지휘부에 대해 파악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구 국가들은 이번 포럼에 상대적으로 낮은 급의 대표단을 파견해 비공식 안보회의로 취급하는 기존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 국방부 부차관보급을 보냈던 미국은 올해 주중 미국대사관 국방무관을 참석시킬 계획이다.

주요 참석자로는 찬춘싱 싱가포르 국방장관,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말레이시아 국방장관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국립한국국방대학교 인사가 참여하며, 황재호 한국외대 글로벌안보협력센터장 겸 국제학부 교수가 이틀째 '아태 안보협력' 주제로 발표한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프랑스, 브라질, 나이지리아, 베트남 등도 대표단을 파견한다.

이번 행사는 남중국해 긴장 고조 상황에서 열려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국의 3번째 항공모함 푸젠함이 최근 대만해협을 거쳐 남중국해 근처 해역에서 훈련을 실시하면서 역내 긴장감을 높인 바 있다. 이후 미 구축함 히긴스와 영국 호위함 리치먼드의 대만해협 통과에 대해 중국군이 "잘못된 시그널을 보내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고 있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지난 9일 둥쥔 중국 국방장관은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과의 통화에서 "대만을 활용한 중국 견제 시도나 개입은 모두 실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10일에는 왕이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 겸 외교부장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통화에서 "최근 미국의 부정적 언행으로 중국 내정에 개입했으며, 대만 등 중국 핵심이익 관련해서는 반드시 언행을 신중히 하라"고 재차 비판했다.

안보적 긴장감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양국은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막후 조율을 병행하고 있다. 14일부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진행 중인 통상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정상회담 논의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19일 양국 정상 간 전화통화도 예정되어 있으며, 블룸버그는 미중 정상이 내달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