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16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관련 발언 논란을 두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해임을 강력히 요구했다.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강 대변인을 즉시 해임하고 소통 라인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야당의 공세는 전날 강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여권의 조 대법원장 사퇴 압박에 대해 "원칙적으로 공감한다"고 언급한 데서 시작됐다. 최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실이 여당의 사퇴 압박에 동조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는 발언"이라며 "실제로 여당에서는 조 대법원장 사퇴는 물론 탄핵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이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논란이 커지자 강 대변인이 1시간여 만에 재차 브리핑을 열어 "오독과 오보"라며 언론 책임으로 돌린 점이다. 최 수석대변인은 "국민 앞에서 삼권분립과 관련된 대통령실 견해를 직접 밝혔다가 스스로 뒤집은 뒤 다른 이들 탓까지 하는 모습은 대변인의 기초 자질마저 의심케 한다"고 비판했다.
더욱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 것은 대변인실이 '원칙적 공감' 부분을 제외한 채 브리핑 회의록을 배포한 사안이다. 기자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해당 내용을 다시 포함시켜 재배포했지만, 최 수석대변인은 "대변인실 회의록은 대통령기록물로 보관되는 문서인데 실제 발언을 제거하고 수정한 것은 은폐 시도라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야당은 이번 사태를 두고 대통령실의 신뢰성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실의 발언은 곧 대통령의 의중"이라며 "특히 헌법과 법치에 연결된 사안일수록 그 비중은 중대하다. 그런데 발언을 내놓고 뒤집으며 책임마저 언론에 전가하는 행태는 신뢰를 자체적으로 훼손하는 행위"라고 질타했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탄핵론까지 거론됐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강 대변인의 발언을 유추해보면 대통령이 직접 조 대법원장을 물러나라고 압박을 가하는 상황"이라며 "이 대통령 탄핵까지 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명박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역임한 박정하 의원은 SNS를 통해 "대변인이 대통령이나 비서실장, 홍보수석과 협의 없이 그토록 중대한 메시지를 발표하는 일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내부 의사소통 과정에 의혹을 제기했다.
반면 대통령실은 우상호 정무수석을 통해 진화에 나섰다. 우 수석은 16일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대통령실은 조 원장 거취에 대해 논의한 바 없고 향후에도 논의할 계획이 없다"고 명확히 했다. 대통령실 측은 회의록 제공이 의무사항이 아닌 취재 지원 차원이며 법적 위반 소지는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논란은 대통령실 홍보 라인에 대한 야당의 공세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을 시사한다. 대통령실은 야당의 비판을 과도한 정치적 공세로 간주하고 별도 대응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소통 체계 점검 압박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