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협, 조국혁신당 성비위 의혹에 "성추행·성희롱 사실무근" 강력 반박

2025.09.14
김보협, 조국혁신당 성비위 의혹에 "성추행·성희롱 사실무근" 강력 반박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 가해자로 거론된 김보협 전 수석대변인이 14일 자신을 향한 모든 의혹을 전면 부정하며 강력히 반박했다. 김 전 수석대변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고소인이 주장하는 것과 같은 성추행 및 성희롱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고 단언했다.

김 전 수석대변인은 "무죄추정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현실을 목격해왔다"며 "일방의 주장이 검증절차 없이 여론재판을 통해 기정사실화되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는 "피해자중심주의가 피해 호소인의 진술을 무조건 진실로 수용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강조하면서, "명백히 허위인 악의적 주장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을 예고한다"고 밝혔다.

지난 4월 28일 성추행 혐의로 고발당한 김 전 수석대변인은 "조선일보가 4월 30일 관련 보도를 내기 직전까지 어떤 내용과 행위로 고발됐는지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은 일체의 내부조사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즉시 나를 직무에서 제외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조국혁신당이 외부조사기관 결과를 전적으로 수용해 자신을 제명한 것에 대해 "소위 '피해자' 진술만을 구체적이고 일관성 있다고 인정한, 편향적 시각의 '보보믿믿 보고서'"라고 비판했다. 또한 "당은 해당 외부조사가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진행됐는지 어떤 검토과정도 없이 맹목적으로 받아들여 제명결정을 내렸다"고 지적했다.

성추행 의혹이 제기된 지난해 12월 노래방 모임과 관련해서는 "고소인이 솔선수범해 식당 근처 노래방으로 동료들을 안내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해당 장소에서 고소인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성추행 행위는 일체 없었다"며 "참석자 8명 중 고소인을 제외하고는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언을 한 당직자가 단 1명뿐이고, 나머지는 그런 일이 없었다거나 기억하지 못한다고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수석대변인은 "모임 다음날인 12월 13일 참석자 전원에게 안전한 귀가 여부와 불쾌한 언행 유무를 확인했더니 모두 별다른 문제가 없었고 우울한 분위기를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만일 누군가 전날 밤 불편한 상황이 있었다고 말했다면 즉석에서 당 윤리위에 징계를 요청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작년 7월 택시 내 성추행 의혹에 대해서는 "고소인과의 동승시간은 불과 5분 정도였다"며 "강남에서 강북으로 가는 길에 강남 거주인 고소인을 먼저 내려드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경찰수사 과정에서 당시 이용한 카카오택시 정보와 운전기사 신상을 모두 제공해 조사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요구 삼보일배 현장에서의 성희롱 발언 의혹에 대해서도 "절하는 후면 모습은 볼 수 없었고, 광화문에서 헌법재판소까지 세 걸음마다 절하는 힘든 상황에서 어떻게 성적 언급을 할 수 있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성비위 사건 부실처리 논란으로 지도부가 총사퇴한 조국혁신당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공표했다.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비대위원장으로 선출됐고, 서왕진 원내대표와 엄규숙 전 청와대여성가족비서관이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위원으로는 김호범 고문, 이재원 사단법인 이음 대표, 우희종 여산생명재단 이사장, 윤솔지 서울국제휘슬러 총괄 프로그래머, 정한숙 대구시당 여성위원장 등이 선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