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옹진군 대청도 해병부대에서 21세 해병 병장이 실탄에 의한 총상으로 사망한 가운데, 14일 장례 절차가 진행됐다. 해병대사령부는 유족과 군경 합동으로 현장감식과 검시를 완료했으며, 유족의 동의하에 국군수도병원에서 장례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사고는 13일 오전 7시 3분경 해안선 정밀수색 작전에 투입된 해병대 6여단 소속 수송병이 차량 운전석에서 이마에 총상을 입은 채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해상 탐색 임무를 마치고 복귀하던 중 발생한 이 사고로 해당 병장은 심각한 출혈 상태에서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오전 9시 1분 공중보건의에 의해 최종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용된 탄환은 실탄으로 확인됐지만, 오발 사고인지 다른 원인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현장 상황을 보면 해당 병장이 차량 문을 닫는 과정에서 운전석 거치대에 있던 개인 총기가 격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K-2 소총의 구조상 단순한 충격만으로는 발사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면밀한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당시 대청도는 기상 상황이 악화되어 헬기를 통한 긴급 후송이 불가능했다. 군 당국은 해경 함정을 활용한 육지 병원 이송을 준비했으나, 실제 이송 이전에 이미 사망 판정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군경 수사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과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있으며, 총기 안전 관리 규정 준수 여부도 함께 검토 중이다. 해병대사령부 관계자는 "유족, 군경 합동, 국가인권위원회 등 관계관 입회하에 현장감식과 검시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최근 한 달 사이 군 내에서 발생한 연쇄 사고 중 하나다. 지난달 23일 육군 최전방 감시초소에서 하사가, 이달 2일 3사관학교 대위가 각각 총기로 목숨을 잃었다. 또한 8일에는 경기 고양시 육군 통신부대 중사가 부대 내 괴롭힘을 호소하는 유서를 남기고 극단적 선택을 했다.
훈련 중 안전사고도 빈발하고 있다. 지난 10일 경기 파주 육군 포병부대에서는 사격 절차 숙달 훈련 중 모의탄이 폭발해 장병 10명이 부상했고, 같은 날 제주 공군부대에서도 예비군 훈련 도중 연습용 지뢰 뇌관이 터져 7명이 다쳤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지난 5일과 11일 잇달아 군 수뇌부를 소집해 "군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의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는 관성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다시는 장병들이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이런 당부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면서 군의 안전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해병대사령부는 "대청도에서 총기사고로 사망한 해병의 명복을 빌며 유족 분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애도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