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간 3대 특검법 합의 번복을 둘러싼 마찰이 표면적 봉합 시도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정 대표는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내부의 작은 이견이 정적과의 차이보다 클 수 있겠느냐"며 "우리는 죽을 고비를 함께 넘긴 전우이자 동지"라고 화합의 손길을 내밀었다. 이어 "당정청이 찰떡처럼 뭉쳐 차돌같이 단단한 원팀으로 완전한 내란 마무리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함께 달려가자"고 강조했다.
하지만 바로 옆에 앉은 김 원내대표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두 사람은 회의 내내 서로 시선을 교환하지 않는 등 어색한 분위기가 계속됐다. 회의 종료 후에는 김 원내대표가 가장 먼저 자리를 떠나는 모습을 보였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당 대표와 원내대표 간 근본적 견해차는 전혀 없다"며 "소통 부족으로 인한 혼란을 드린 것은 지도부에게 교훈을 남겼다"고 설명했다. 그는 "3대 특검을 통한 확실한 내란 마무리라는 핵심 목표에서는 두 지도부의 생각이 일치한다"고 덧붙였다.
갈등의 발단은 정 대표가 전날 오전 기자들 앞에서 "협상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었고, 지도부 의견과도 달라 즉시 재협상을 주문했다"고 돌연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이는 김 원내대표가 독단으로 야당과 타협했다는 인상을 주었고, 강성 지지자들의 비난이 원내대표에게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김 원내대표가 야당과의 타협 이전에 지도부와 법사위원회, 중진 의원들과 충분히 소통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정 대표가 뒤늦게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히 강성 지지층의 격렬한 반발을 의식해 원내대표만 희생양으로 삼으려 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함께 승선했다가 풍랑이 치자 혼자만 살겠다고 뛰어내린 격"이라며 "당 지도부에 대한 신뢰 회복이 가능할지 의구심이 든다"고 토로했다.
당내에서는 출범 40일 만에 드러난 '정청래호' 리더십의 균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의원은 "당 지도부와 원내 지도부 간 의사소통 문제로 발생한 일로 보인다"며 "분열 상태로는 국정감사 등 어떤 일도 제대로 할 수 없어 신속한 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당론으로 제출했다. 검찰청 폐지와 중대범죄수사청·공소청 신설, 기획재정부의 기획예산처·재정경제부 분할, 금융위원회의 금융감독위원회 전환 등이 핵심 내용이다.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 성평등가족부 개편 등도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