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법제사법위원장이 13일 김병기 원내대표의 3대 특검법 여야 협상 논란에 대해 "과도한 성과 욕심으로 점검해야 할 부분을 놓쳤다"고 비판했다.
추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원내대표진이 마감 기한을 정해두고 매우 급하게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무적 고려로 항상 핵심을 파악하지 못한 이전 정권의 실수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 취임 100일을 목전에 두고 정부조직법 통과를 원활히 하려는 계산이 있었을 수 있다"면서도 "대통령 말씀대로 민주공화국 근본을 훼손한 일에 대한 진상조사를 위한 특검법은 거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판단을 당 차원에서 신중히 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추 위원장은 여야 협상 당시 상황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지난 10일 오후 5시 44분쯤 갑작스럽게 원내대표 전화가 울렸다. 위원장으로서 회의를 주재하던 중이었지만 긴급한 일로 판단해 회의실을 나섰다"며 "이해하기 힘든 급한 목소리로 무언가 말하는데, 여야간 원내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조차 모르던 상황에서 일단 '처음 듣는 얘기'라고 대답했다"고 밝혔다.
이어 "상세한 내용은 확인 후 답변하겠다고 했는데, 위원장석으로 복귀한 지 약 1시간 뒤 보좌관이 여야 협의 속보를 알려줬다"며 당시 소통 부재를 지적했다.
추 위원장은 "그 이후 현재까지 '법사위 안건이니 당연히 법사위원장과 미리 상의했을 텐데, 왜 책임을 피하려 하느냐'는 메시지들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며 "사실 가장 듣기 싫은 말이 책임 전가다. 정치 생활 동안 최소한 그런 지적을 받지 않으려고 애써왔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모든 사람이 실수할 수 있다. 하지만 실수 원인을 되돌아보고 재발하지 않도록 한다면 이보다 좋은 교훈은 없을 것"이라며 "실수를 직면하는 것 역시 큰 용기다. 모두 재기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추 위원장은 "다시 논란을 키운다는 걱정도 있겠지만, 당 선배 입장에서 이번 사안이 향후 타산지석이 되길 바라는 절실한 심정으로 글을 남긴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 원내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걱정 끼쳐드려 미안하다"며 "마음을 다잡아 내란 마무리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사과했다. 지난 10일 국민의힘과 수사 기간 추가 연장 없이 인력 보강을 최소화하는 방향의 특검법 수정안 협의 이후 당내 강경파와 정청래 대표의 반발로 여당 지도부 간 갈등이 표면화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