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대남·해외 첩보 및 공작활동을 담당하는 핵심기구인 정찰총국을 '정찰정보총국'으로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는 15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북한의 움직임을 공식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박정천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이 전날 발표한 성명문에서 '정찰정보총국'이란 명칭이 최초로 등장했다며 "종전의 정찰총국 조직을 확대 재편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언론매체나 당국 발표에서 해당 기관명이 거론된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박정천 부위원장은 한미일 및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규탄하는 담화에서 "정찰정보총국으로부터 머지않아 한반도 및 인근 지역에서 미군과 동맹국들이 참여하는 핵전술 훈련 '아이언 메이스'와 다영역 합동작전 '프리덤 에지'가 동시 실시될 예정이라는 첩보를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들은 이번 조직 개편의 배경으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운용 시작을 지목했다. 구 대변인은 "북한이 작년 11월부터 군사정찰위성 활용을 개시한 상황에 발맞춰 해외 첩보 수집과 분석 업무를 강화했을 개연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찰총국은 2009년 노동당 소속 작전부와 35호실(해외정보조사부), 인민무력부 정찰국 등 주요 공작조직들을 군 총참모부 산하로 통합하여 설립된 대남공작의 핵심기구다. 천안함 피격사건을 배후에서 기획한 것으로 알려진 이 조직이 이제 정보수집 기능까지 대폭 확충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세 차례 시도 끝에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주장해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당시 이를 "국가의 전략적 역량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 역사적 성과"라고 치켜세웠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직 확대가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노선과 맥을 같이 한다고 분석한다. 북한은 2023년 12월 당 전원회의에서 대남정책 전환을 선언한 이후 통일전선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기존 대화기구들은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반면, 대남 적대활동 조직은 오히려 강화하는 행보를 보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