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가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한 주민들을 지칭하는 '북한이탈주민'과 '탈북민'이라는 표현을 '북향민' 등으로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6일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식에서 현재 사용되는 공식 명칭과 일반적 호칭에 대한 대안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정 장관은 "북한출신 주민들이 가장 거부감을 느끼는 글자가 '탈(脫)'자"라며 "어감상 좋지 않은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북 지역에 뿌리를 둔 분들이라는 의미에서 '북향민'이 현재 가장 높은 선호를 보이고 있다"며 청중들에게 동의를 구하기도 했다. 이미 지난달 말 관련 주민들과의 간담회에서도 이 같은 문제의식을 드러낸 바 있다고 알려졌다.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학회와 함께 명칭 개선 필요성과 후보 용어들에 대한 연구 작업을 지난달부터 시작했으며, 최종 결과는 11월 중 공개될 예정이다. 관계자는 "법령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과 그 줄임말인 탈북민의 개선 방안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명칭 개선 요구는 당사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작년 통일연구원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8.9%가 현행 법정 명칭을 바꿔야 한다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대안으로는 '하나민', '통일민', '북향민' 등이 고른 지지를 받았다.
이전 윤석열 정부 시절 국민통합위원회에서도 '북배경주민'과 '탈북국민' 등을 제안했으나 사회적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 과거 '새터민'이라는 용어도 도입되었지만 광범위한 사용으로 이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법적 명칭 변경을 위해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미 사회에 정착된 '탈북민'이라는 일상 표현을 새로운 호칭으로 바꾸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부 측은 "해당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통합 증진을 위해 명칭 변경 필요성, 법정 용어와 일상 호칭의 분리 가능성, 적합한 대안 등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같은 날 남북하나재단과 북한출신 주민들의 정착 지원을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 기관은 청소년 학습 지원, 취약계층 복지 증진, 통신서비스 교육 등 다방면에서 협력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