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12·3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위한 본회의 진행 시점을 놓고 SNS를 통해 격한 공방을 펼쳤다. 한 전 대표가 당시 표결 지연이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출석을 기다린 것 아니냐고 제기하자, 우 의장은 국회의장으로서의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하며 응수했다.
갈등의 발단은 한 전 대표가 13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올린 글이었다. 그는 "민주당이 특검과 손잡고 나를 공격하고 있다"며 "우 의장이 비상계엄 해제 정족수가 충족되었는데도 왜 곧바로 투표를 진행하지 않았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본회의장에 있던 우리 의원들이 우 의장에게 여러 차례 긴급 표결을 강하게 요구했다"면서 "혹시 숲속에 숨어 있던 이재명 당시 대표의 본회의장 입장을 기다렸던 것은 아닌지"라고 직격했다.
이에 대해 우 의장은 다음날 즉각 반박에 나섰다. 그는 "국회의장이 회의 개시 시각을 독단으로 결정하는 게 아니라 교섭단체 대표들과의 합의가 필요하다"며 "당일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과의 최종 협의가 완료된 시각이 새벽 1시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합의된 시간이 새벽 1시인 상황에서 특별한 사유 변경 없이 정족수 충족만을 이유로 의장이 자의적으로 시간을 바꾸는 것은 절차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또한 "법률 분야 종사자였던 분이 이런 기본 사항을 모르는 것이 납득하기 어렵다"며 "앞으로는 이해하시길 바라고, 알면서도 그런 주장을 한다면 명예훼손 목적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한 전 대표는 곧바로 재반박 글을 게재했다. 그는 "추경호 원내대표와의 합의를 표결 연기 사유로 언급하시는데, 추 원내대표는 본회의장 참석 자체를 거부한 상황인데 어떻게 그의 동의가 표결 연기의 타당한 근거가 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힘든 여건 속에서도 표결에 참여하려 온 당 대표인 나와 현장에 있던 국민의힘 의원들은 추 원내대표와 의장님 간의 그런 논의 자체를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특히 "정족수가 채워진 후 표결이 진행되지 않은 수십 분 동안 계엄군이 침입해 의원들을 강제로 끌어내 계엄해제를 저지하고 유혈충돌까지 발생할 수 있는 대한민국 역사상 중대한 위기 상황이었다"며 "나는 그런 급박한 상황에서의 표결 연기가 이해되지 않았고, 그곳에 모인 의원들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했다"고 밝혔다.
특히 우 의장이 처음 올린 글에서 "국회의원을 안 해봐서 그러느냐"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가 나중에 삭제한 것도 논란이 되었다. 한 전 대표는 "그런 발언은 평소 우 의장의 품격을 생각할 때 국민들이 보기에 매우 실망스러운 말씀"이라고 비판했다.